AC 모터 속도 제어의 핵심은 모터 유형(비동기 모터/동기 모터) 및 적용 시나리오(예: 속도 조절 정확도, 비용, 에너지 소비)에 따라 전압, 주파수, 전류 또는 자기장과 같은 모터의 주요 입력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기술적 성숙도 및 적용 범위별로 분류된 주요 제어 방법에 대한 자세한 분석입니다.
I. "전압-주파수 조정" 기반 속도 조절(비동기 모터의 주류)
비동기 모터의 속도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n = 60f(1-s)/p (여기서 f = 전원 주파수, s = 슬립율, p = 모터 극 쌍 수) "주파수 f"와 "고정자 전압 U"를 동기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넓은 범위와 저손실 속도 조절을 달성할 수 있어 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솔루션입니다.
1. 가변 주파수 속도 조절(VVVF,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 원칙: 산업용 주파수 교류 전력(예: 220V/50Hz, 380V/50Hz)을 "주파수 변환기"를 통해 "조정 가능한 전압 및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의 다양한 속도 요구 사항을 충족합니다(주파수가 증가하면 속도가 증가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 키 로직: 모터 고정자 임피던스가 고정된 경우, U/f 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속 포화 또는 자속 부족이 발생하여 모터 소손 또는 토크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기는 전압과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 분류:
- 스칼라 제어: 전압과 주파수의 진폭만 제어합니다.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팬, 워터 펌프(예: 가정용 에어컨의 실외기)와 같이 속도 조절 정확도가 낮은 환경에 적합합니다.
- 벡터 제어: 모터 전류를 "여자 전류"와 "토크 전류"로 분해하여 각각 정밀하게 제어하여 DC 모터(예: CNC 공작 기계, 엘리베이터 견인 기계)와 유사한 높은 동적 응답을 실현합니다.
- 직접 토크 제어(DTC): 전류 분해를 생략하고 모터 토크와 자속 쇄교를 직접 제어합니다. 응답 속도가 빠르며 압연기 및 서보 시스템과 같이 동적 특성이 높은 환경에 적합합니다.
- 장점: 넓은 속도 조절 범위(0~정격 속도, 심지어 정격 속도 초과), 높은 효율(정격 효율에 가까움), 안정적인 토크.
- 단점: 주파수 변환기의 비용이 많이 듭니다. 고주파에서 고조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필터를 추가해야 함).
2. 소프트 스타터 속도 조절(보조 속도 조절, 불연속 속도 조절)
- 원칙: 사이리스터(SCR)를 통해 모터 고정자 전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부드러운 시동"을 달성하고 시동 시 큰 전류 영향을 방지합니다. 일부 소프트 스타터는 "전압 조절 방식 속도 조절"(전압을 낮춰 간접적으로 속도를 줄임으로써 슬립 비율을 낮춤)을 지원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시동 단계" 또는 "단기 저정밀 속도 감속"(예: 컨베이어 벨트의 경부하 속도 조절)에만 적용됩니다. 광범위한 연속 속도 조절은 불가능합니다(전압이 지나치게 낮으면 모터 과열이 발생함).
- 장점: 주파수 변환기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완벽한 보호 기능(과전류, 과부하)을 갖추고 있습니다.
- 단점: 속도 조절 범위가 좁습니다(일반적으로 정격 속도의 70%까지만 줄일 수 있음). 저속에서 역률이 낮습니다.
II. "폴 페어 조정"(가변 폴 속도 조절) 기반 속도 조절
- 원칙: 비동기 모터 속도 공식에 따르면 n = 60f(1-s)/p모터의 동기 속도는 모터 고정자 권선의 "극 쌍 수 p"(예: 2극 → 4극)를 변경함으로써 직접 변경됩니다. 50Hz에서 2극 모터의 동기 속도는 3000rpm이고, 4극 모터의 동기 속도는 1500rpm입니다.
- 구현 방법: 모터 권선의 "정류 스위치"(예: 스타-델타 스위칭, 더블-스타 스위칭)를 통해 권선의 전류 방향을 변경하여 극 쌍의 수를 변경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단계적 속도 조절" 시나리오(예: 펀치 프레스, 압축기, 팬)에만 적용됩니다. 모터는 여러 극 쌍(예: 2/4극, 4/6극 2단 모터)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 장점: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작동이 안정적이며, 속도 조절 시 효율성 손실이 없습니다.
- 단점: "고정 기어" 속도 조절만 가능합니다(예: 2단 기어, 3단 기어). 지속적이고 원활한 속도 조절은 불가능합니다.
III. "슬립 비율 조정" 기반 속도 조절(저정확도, 저전력 시나리오)
속도 조절은 모터의 "슬립비(s)"(실제 속도와 동기 속도의 차이 비율)를 변경하여 이루어집니다. 정확도 요구 사항이 낮고 전력 소모가 적은 모터(예: 가정용 선풍기, 소형 컨베이어)에 적합합니다.
1. 고정자 전압 조절 속도 조절
- 원칙: 전압 조정기(예: 자동 변압기, 사이리스터 전압 조정 회로)를 통해 고정자 전압 U를 낮춥니다. 이렇게 하면 모터 토크 T가 감소합니다(T는 U²에 비례). 부하 토크가 변하지 않으면 슬립율 s가 증가하고 실제 속도는 감소합니다.
- 장점: 회로가 간단하고 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
- 단점: 속도 조절 범위가 좁고(속도 감소율이 10~30%에 불과함), 저속에서 모터가 심하게 과열되고(슬립 전력 손실이 큼) 토크가 부족함.
2. 로터 직렬 저항 속도 조절(권선형 로터 비동기 모터에만 적용)
- 원칙: 권선형 비동기 전동기의 회전자 권선은 외부 저항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회전자 회로 저항 R2를 증가시키면 슬립 비율 s가 증가하고(s는 R2에 비례함), 이로 인해 실제 속도가 감소합니다(동기 속도는 변하지 않으며, 슬립 증가는 실제 속도 감소로 이어짐).
- 애플리케이션: "단기 속도 조절" 또는 "시동 속도 조절" 시나리오(예: 크레인, 윈치)에 적합합니다. 저항값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려면 "로터 가변저항기"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장점: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속도 조절 시 토크가 안정적입니다(시동 토크가 큽니다).
- 단점: 저속에서는 로터 저항 손실이 크고(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됨), 효율성이 낮으며, 속도 조절 정확도가 낮습니다(저항 기어가 제한됨).